반응형 원자론자6 파르메니데스와 원자론자의 진공론 그런데 비존재not-being를 반대한 파르메니데스의 논의는 논리적으로 반박하기 어려운 것 같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같이 보이는 곳에도 공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파르메니데스의 논의는 더욱 강화되었다. 이 진공의 존재 문제는 논리와 일상 행해지는 관찰과의 혼란된 혼합의 한 좋은 실례이다. 파르메니데스의 입장을 이와 같이 말할 수가 있다. "우리는 진공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진공은 무無는 아니다. 따라서, 그것은 진공이 아니다." 원자론자들이 이 논의에 대하여 답변했다고 할 수는 없다. 그들은 다만 운동이란 것은 경험적인 사실이며, 따라서 비록 진공이란 것이 생각하기 어려운 것일지라도 존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런 입장에서 파르메니데스의 논의를 무시할 것을 선언하고 있을 뿐이다. 2015. 8. 3. 원자론자들의 학설은 경험적 관찰 요소를 배제함 원자론자들이 이 학설을 세운 것이 전적으로 경험에 입각해서 되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원자론은 오늘날에 있어서 화학의 여러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시 생각났다. 그러나 그리스 사람들에게는 이 사실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고대에는 경험적 관찰과 논리적 논의를 확연히 구별 짓지 못하였다. 파르메니데스는 '사실'들을 경멸히 여긴 것만은 사실이다. 그러나 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는 그들의 형이상학을 물시계나 돌아가는 물 양동이에 대한 관찰 등과 결합시켰다. 소피스트 때까지는 어느 철학자도 완전한 형이상학과 우주론은 많은 추리와 어느 정도의 관찰을 종합하면 된다는 것을 의심한 것 같지 않다. 다행히 원자론자들은 2000년 후에 어떤 확증이 발견되게 된 한 가설을 세우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 2015. 6. 12. 목적론적 설명과 기계론적 설명의 인식 범주 목적론적 설명에 관하여 생각해 볼 때, 이 설명은 얼마 진행되기 전에 곧 창조자 또는 적어도 그의 목적이 이 자연의 발전 과정 속에 나타나게 되는 그 창조자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사람들이 철저하게 목적론적으로 되어서, 그러면 이 창조자는 무슨 목적으로 존재하는가 하는 것을 계속 추구할 것 같으면, 이 추구는 분명히 경건치 못한 것으로 되어 버린다. 그뿐만 아니라, 그것은 무의미한 질문이다. 왜냐 하면, 이 질문이 의미를 가지려면 우리는 이 창조자까지도 창조한 어떤 초창조자를 가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목적의 개념은 다만 실제 내에서만 적용되는 것인지 실재 일반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론적 설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논의가 적용된다. 한 사건은 다른 한 사건의 원인이 되어 결과된다... 2015. 5. 27. 원자론자들의 세계 설명에 대한 인과론적 관점 고대에 있어서는, 원자론자들이 모든 것을 우연change으로 돌린다는 이유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난을 받아 왔다. 그러나 오히려 그들은 엄격한 결정론자들determinists이었다. 그들은 모든 것이 자연법에 따라 일어난다고 믿고 있었다. 데모크리토스는 어떤 것이든지 우연히 일어날 수는 없다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레우키포스는 그의 존재조차 의문시되고 있으면서도 다음의 말을 남긴 사람으로서 알려져 있다. “아무것도 무로부터 일어나지는 않는다. 모든 것이 어떤 원인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일어난다." 세계가 본래 무엇 때문에 그와 같이 존재하게 되었는가 하는 이유는 그도 물론 밝히지 못한 것만은 사실이다. 아마도 이점만은 우연에 돌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일단 세계가 존재하고 난 후, 그 후의 발전은 기.. 2015. 4. 30. 원자론atomism의 창시자 레우키포스Leucippus 원자론atomism의 창시자는 레우키포스Leucippus와 데모크리토스Democritus였다. 이 두 사람을 분리시키는 일은 어렵다. 왜냐하면, 그들은 보통 동시에 다루며, 레우키포스의 업적들 가운데서 어떤 것은 분명히 후에 데모크리토스에게 돌렸기 때문이다. 레우키포스는 아마도 기원전 440년경에 활동한 것 같은데, 밀레투스 출신이었다. 그리하여 밀레투스 시와 관련이 있는 과학적, 합리주의적 철학을 수행했다. 그는 과르메니데스와 제논Zenon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에 관해서는 너무나 알려진 바가 없으므로, 데모크리토스의 후계자인 에피쿠로스가 그의 역사성을 전연 부인해 버릴 정도였다. 이와 같은 설은 오늘날에도 다시 대두하고 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에 보면 그에 관하여 언급한 곳이 많다. 이와 .. 2015. 4. 14. 원자론자들의 학설들 아리스토텔레스는 또 주장하기를, 원자론자들에 의하면 원자들은 또 열의 차이로부터도 그 종류의 차이가 생긴다고 하였다. 불의 원자인 구형球形의 원자는 가장 뜨겁다. 그리고 무게에 관해서도 데모크리토스의 다음과 같은 말을 인용하고 있다. “원자[분할 불가능체]는 나눌 수 없을수록 더 무겁다.” 그러나 원자론자들의 학설에 있어서 원자들이 본래 무게를 가지는지 어떤지에 관한 문제는 논의의 여지가 많은 문제이다. 원자들은 항상 운동하고 있다. 그러나 그 본래의 운동이 어떠했는지에 관해서는 해석자들 가운데 반드시 의견 일치를 보고 있지 않다. 어떤 사람들, 특히 젤러는 원자들은 항상 낙하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무거운 원자는 더 빨리 떨어져서 가벼운 원자에 뒤따라 미치면서로 충돌하여 마치 당구와도 같.. 2015. 4.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