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8 황금률黃金律golden rule은 도덕률의 궁극 가르침 황금률은 그리스도교의 윤리관을 가장 잘 표현해 준다. 원래 산상 수훈山上垂訓 속에 있는 것으로,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라는 가르침을 말한다. 또한, 황금처럼 고귀한 윤리의 지침을 일컫기도 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윤리 사상가가 그들의 도덕규범을 황금률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자기가 싫어하는 것은 남에게도 하지마라.[己所不慾 勿施於人] - 공자 네 의지의 격률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 - 칸트 2016. 8. 26. 덕 윤리의 등장 배경과 문제 의식 오늘날의 윤리학에서 덕 윤리가 새롭게 관심을 끌게 된 것은 무엇보다 근대 윤리에 대한 불만 때문이다. 덕 윤리의 관점에서 볼 때, 근대 윤리는 도덕성의 근원과 개인의 인성을 무시한 채 도덕적 의무와 법칙만을 강조하였다. 이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제1 원칙으로 삼은 공리주의나 '정언 명령'을 도덕 법칙으로 삼은 칸트 윤리도 마찬가지였다. 그대서 현대의 덕 윤리는 이들을 모두 '의무의 윤리' 혹은 '원칙의 윤리'라고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사람의 성품과 덕성을 중시했던 전통 윤리에 주목할 것을 강조한다. 현대의 덕 윤리는 옳고 선한 행위를 하려면 무엇보다도 유덕한 성품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행위를 인도하는 원칙을 가지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선을 지향하는 습관을 몸에 지니는 일이 더욱 중요하.. 2016. 4. 20. 극단적 세계주의의 사례와 문제점 세계주의는 민족주의와 대비되는 것으로 현존하는 여러 국가가 해소 혹은 개혁되어서 국가 간의 대립이 없어지고, 유일한 세계 연방이 실현되어 전 인류가 그 시민이 되는 것을 이상으로 한다. 세계주의의 사상적 기반은, 모든 사람은 이성이 있어서 평등하며 이성의 법칙에 따라 동일한 권리와 의무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던 스토아학파에서 찾을 수 있다. 근대의 칸트도 사회 구성원 모두가 "너의 행동의 준칙이 항상 보편적 법칙에 타당하도록 하라."는 명령을 도덕 원리로 삼는 도덕적인 공동체를 지향하였다. 이들은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동시에 나 자신의 포용력을 풍부하게 만들고자 하였다. 이에 비해 극단적 세계주의는 개별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인정하기 않고, 특정한 문화만을 세계적인 문화로 여겨 다른 사람들도 받아.. 2016. 3. 13. 분배 정의와 복지의 실현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서구 사회에서의 분배 기준은 주로 공적이었고, 빈민의 비참함을 덜어 주는 것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다만 귀족이나 종교 단체가 자선을 통해 빈민의 어려움을 덜어 줄 뿐이었다. 근대에 와서 사람들은 공적과 무관하게, 분배받지 못한 사람들도 주택·의료·교육 등의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일을 국가가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칸트는 개인이 행하는 적선積善은 주는 사람의 자만심을 키우고 받는 사람의 품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빈민을 부양하는 것은 국가가 나서야 할 일이라고 여겼다. 또한, 빈민 부양을 위해 국가가 모든 사람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처럼 모든 사람은 빈민 부양에 이바지해야 할 의무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는 모든 구성원이 쾌적한 생활 환경.. 2016. 3. 10. 칸트와 공리주의 입장에서 거짓말에 대한 견해 밝히기 이상 증세를 보이는 한 환자의 신체 조직을 떼어 정밀 검사를 의뢰했던 의사가 검사 결과를 통보받았다. 결과는 치료할 수 없는 암이었다. 그 환자는 합리적인 사고 능력과 의사 결정 능력이 있지만, 다소 신경질적인 성격에 정신병 전력이 있었다. 특히 최근 그의 아내가 고통스러운 암 투병 끝에 사망한 일을 겪고 나서 우울증 증세를 보이기도 하였다. 마침 검사 결과를 알려고 병원을 찾은 환자가 의사에게 신경질적으로 물었다. "나는 괜찮은가요?" 이어서 대답도 기다리지도 않은 채 의사에게 다시 물었다. "암은 아지지요, 그렇지요?" 환자의 예후를 걱정하고 또 우울증이 악화할 것을 우려한 의사는 "당신은 10년 전만큼이나 좋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는 명백한 거짓말을 한 것이 마음에 걸렸으나 이 경우에는 어쩔 .. 2016. 2. 20. 칸트와 "실천 이성 비판" 칸트Kant, I.(1724~1804)는 서양 근대 사상이 지향했던 도덕적 이상을 집대성한 사람이다. 그에게서 우리는 오늘날 우리가 추구하는 자유 민주주의 사회의 초석이 되는 정신을 찾아볼 수 있다. 자유 민주주의 사회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존엄한 존재임을 전제하는 사회이므로, 거기서 통용되는 윤리는 보편주의와 인격주의에 입각한 윤리일 수밖에 억다. 그것은 모든 인간이 도덕적으로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하고, 인격을 지닌 존재로서 그 자체로 존중되어야 한다는 정신을 담고있다. "실천 이성 비판"의 다음 구절은 이러한 정신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의무, 너 위대하고 숭고한 이름이여! 너는 환심을 살 만한 사랑받을 아무것도 네 안에 갖지 않은 채 복종을 요구한다. 너는 아무런 위험도 하지 않으면서, 법칙만을 .. 2016. 2.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