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4 정의, 자유와 평등의 조화 롤스는 “정의론”에서, 정의를 고민하는 올바른 방법은 원초적으로 평등한 상황에서 어떤 원칙에 동의해야 하는가를 묻는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롤스는 원칙을 정하려고 모인 사람들이 무지의 베일 뒤에서 자기가 사회에서 어떤 위치에 속할지 모른다고 가정해 보자고 제안하였다. 이처럼 협상에서 누구도 우월한 위치에 놓이지 않는다면, 우리가 합의한 원칙은 공정하다. 롤스는 만약 그런 위치에 놓인다면, 이성적이고 자기 이익을 챙기는 우리 같은 사람들이 어떤 원칙을 선택할지 자문해 보라고 하였다. 우선 공리주의를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무지의 베일 뒤에서 모르긴 몰라도 “나는 억압받는 소수에 속할거야”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군중의 쾌락을 위해 사자 우리에 던져지는 그리스도인이 되고 싶은 사람도 없을 것이다... 2016. 10. 7.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 - "니코마코스 윤리학" 에서 '정의롭지 않은 사람'이 누구인지 생각해 보자. 법을 어기는 사람은 부정의 한 사람이며, 더 많이 가지려 하면서 공정하지 않은 사람도 부정의 한 사람이다. 반대로 법을 지키는 사람은 정의로우며, 공정한 사람도 정의롭다. 그러므로 정의로운 것은 법을 지키는 것이며, 공정한 것이고, 정의롭지 않은 것은 법을 어기는 것이며 공정하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정의롭지 않은 사람은 더 많이 가지려는 사람이기에, 그는 '줗은 것'에 관심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그는 '모든 좋은것'에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운과 불운에 관련되는 좋은 것들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다. 자신의 행운과 불운에 관련되는 좋은 것들이 다른 사람에게도 항상 좋은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이런 '제한된 의미에서 좋은 것'만을 간절히 .. 2015. 5. 22. 사회 제도가 지향하는 가치 사회 제도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가치를 지향해야 할까? 우선, 사회 제도는 인간의 존엄성을 보호하고 증진시켜야 한다. 즉, 제도를 위한 제도가 아니라 인간을 위한 제도여야 한다. 사회 제도는 개인의 삶에 개개인의 사적 행위보다 훨씬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 제도로 말미암아 고통받거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잃게 되는 사람이나 계층이 생기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사회 제도는 특정 개인이나 계층의 이익이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바람직한 가치인 '공동선共同善'을 추구해야 한다. 물론, 현실적으로 공동선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공동체 전체가 합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다양한 사람의 의견을 모으고 합의하는 민주적 절차와 제도를 통하여 특정한 계층의 이익보다는 사회 구성원 .. 2015. 4. 28. 사회 제도와 정의에서 다루는 항목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사회 구성원들의 기본적인 요구와 사회적인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도를 만들어 전체 사회를 유지해 왔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태어나 사회 제도를 통해 삶의 양식을 익히며 살아왔지만, 때로는 불공정한 제도 때문에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로 인해 고통받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불공정한 제도 때문에 발생하는 사회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사회 제도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행복을 추구하면서 인간의 존엄성을 보호하고 증진시켜야 한다. 또한, 사회 제도는 공평하게 적용되어야 하는데, 사회 제도의 내용이 일부 사람들에게만 유리하거나 불리하지 않을 때 정의로운 사회 제도라고 한다. 따라서 우리는 정의로운 사회 제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살펴보.. 2015. 4.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