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덕 윤리4

덕 윤리와 의무 윤리에 대한 의견 의견 1 게임 중독에 걸린 사람이 아무리 '이제부터 게임을 그만해야지.' 하고 마음먹어도 좀처럼 게임을 그만둘 수 없는 것은 마음 때문이 아니고 몸에 밴 습관 때문이다. 도덕도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도덕적 삶을 살려면 도덕적 지식이나 원리를 아는 일보다 좋은 습관이나 덕을 함양하는 일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도덕적 행동이란 단지 머리로 안다고 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몸에 밴 습관이나 선한 품성의 발로가 아니겠는가? 의견 2 나는 우리가 도덕적으로 살아가려면 도덕적 지식이나 원리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훌륭한 달리기 선수라 할지라도 목표나 방향을 모르고서는 제대로 달릴 수 없듯이, 무엇이 도덕적으로 선하고 옳은 것인지를 모르면서 어떻게 도덕적인 행동을 할 수 있겠는가? 좋은 습관이나.. 2016. 5. 26.
보편적 윤리와 덕 윤리의 상호 보완 보편주의를 표방하는 윤리의 문제점은 추상적 원리에 의존하고 구체적인 상황이나 개인적 욕구·감정 등을 무시함으로써 실천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덕 윤리가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근대 시민 사회의 구조에 바탕을 두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이상, 덕 윤리가 근대 윤리를 완전히 대신할 수 있다는 주장은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덕이란 어쩔 수 없이 특정 사회의 전통, 관행, 문화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근대 사회가 요구하는 보편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상대주의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는 근대 윤리가 강점을 가진다. 그것은 모든 인간의 자유, 평등, 존엄, 행복 등에 근거한 기본 원칙을 분명히 제시하고 있기 때.. 2016. 5. 17.
근대 윤리가 출현하게 된 배경 덕 윤리는 우리에게 그리 생소한 개념이 아니다. 우리는 이미 오랜 농경 문화의 전통 속에서 덕 윤리의 원형이라 할 만한 유교 윤리를 지니고 살아왔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덕 윤리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친숙한 윤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인간은 가장 기본적인 생활 단위인 가정을 비롯하여 항상 어떤 일정 규모의 공동체 속에서 살아왔고 그러한 공동체 안에서의 삶을 잘 영위할 수 있는 능력과 지혜가 곧 덕이며, 그러한 덕으로 이루어진 체계가 다름 아닌 윤리였다. 그런데 그러한 윤리는 근대 시민 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쇠퇴할 수밖에 없었다. 삶의 단위가 소규모 공동체를 넘어 거대 규모의 공동체로 변하고, 서로 친숙하지 않은 개인들이 한데 모여 살아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이러한 시대.. 2016. 5. 8.
덕 윤리의 등장 배경과 문제 의식 오늘날의 윤리학에서 덕 윤리가 새롭게 관심을 끌게 된 것은 무엇보다 근대 윤리에 대한 불만 때문이다. 덕 윤리의 관점에서 볼 때, 근대 윤리는 도덕성의 근원과 개인의 인성을 무시한 채 도덕적 의무와 법칙만을 강조하였다. 이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제1 원칙으로 삼은 공리주의나 '정언 명령'을 도덕 법칙으로 삼은 칸트 윤리도 마찬가지였다. 그대서 현대의 덕 윤리는 이들을 모두 '의무의 윤리' 혹은 '원칙의 윤리'라고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사람의 성품과 덕성을 중시했던 전통 윤리에 주목할 것을 강조한다. 현대의 덕 윤리는 옳고 선한 행위를 하려면 무엇보다도 유덕한 성품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행위를 인도하는 원칙을 가지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선을 지향하는 습관을 몸에 지니는 일이 더욱 중요하.. 2016.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