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언 명령2 덕 윤리의 등장 배경과 문제 의식 오늘날의 윤리학에서 덕 윤리가 새롭게 관심을 끌게 된 것은 무엇보다 근대 윤리에 대한 불만 때문이다. 덕 윤리의 관점에서 볼 때, 근대 윤리는 도덕성의 근원과 개인의 인성을 무시한 채 도덕적 의무와 법칙만을 강조하였다. 이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제1 원칙으로 삼은 공리주의나 '정언 명령'을 도덕 법칙으로 삼은 칸트 윤리도 마찬가지였다. 그대서 현대의 덕 윤리는 이들을 모두 '의무의 윤리' 혹은 '원칙의 윤리'라고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사람의 성품과 덕성을 중시했던 전통 윤리에 주목할 것을 강조한다. 현대의 덕 윤리는 옳고 선한 행위를 하려면 무엇보다도 유덕한 성품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행위를 인도하는 원칙을 가지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선을 지향하는 습관을 몸에 지니는 일이 더욱 중요하.. 2016. 4. 20. 칸트의 정언 명령 도덕법칙 칸트가 생각한 도덕 법칙은 어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명령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무조건적 명령으로 되어 있다. 그것은, "만일 네가 성공하고자 한다면, 열심히 일해라."와 같이 조건이 붙은 가언 명령이 아니라, "너는 무조건 이것을 해야 한다."와 같은 정언 명령이어야 한다. 즉, 그 명령의 전제가 되는 어떤 상위의 목적이 있으면 안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행복조차 결코 도덕에 우선하는 목적이 될 수 없다. 칸트가 도덕 법칙으로서 첫 번째로 제시한 정언 명령은 "네 의지의 격률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이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행위할 때 항상 보편적 관점에서 판단할 것을 요구한다. 칸트는 모든 도덕 문제의 핵심이 인간의 자기중심적 태도의 극.. 2015. 12.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