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치자2

플라톤이 생각한 통치자의 자질과 지혜에 대한 생각 셋째로, 플라톤의 원리에 입각할 때 훌륭한 통치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교육을 필요로 하게 된다. 플라톤이 시라쿠사의 폭군 디오니소스 2세를 훌륭한 임금으로 만들기 위하여 기하를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우리들에게는 이상하게 느껴진다.그러나 플라톤의 입장에서는 그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는 수학을 떠나서는 아무런 참다운 지혜도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이것은 보면, 그는 완전히 피타고라스 학파였다고 할 수 있다. 플라톤의 정치에 대한 그런 견해는 곧 과두정체寡頭政體oligarchy를 의미한다. 넷째로, 플라톤은 그리스 철학자들의 일반적 견해가 그러했던 것처럼, 여가가 지혜의 본질이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자기의 생활을 위해 일하지 않으면 안 되는 사람은 지혜란 가질 수가 없는 것이고, 다만 고유한.. 2016. 6. 2.
플라톤과 "국가" 플라톤Platon(서기전427?~서기전347?)은 아테네 최고 귀족 가문의 후손이며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 "국가"는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을 이어받아 독창적인 윤리 사상을 완성한 작품이다. "국가"는 인식론, 존재론(형이상학), 윤리 사상, 정치 사상 등 거의 모든 분야의 학문적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이 책에서 이상 국가를 제시하였다. 이상 국가는 정의로운 국가인데, 그 모습을 제시하기 위해 그가 사용한 방법은 인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회에 적용하는 것이었다. 국가는 인간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는 인간의 특성과 구조가 국가의 특성이나 구조와 대응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는 인간의 영혼에는 이성, 기개, 욕구라는 세 가지 기능이 있으며, 이성은 지혜의 덕을, 기개는 용기의 덕을, 욕구는 절.. 2015.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