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는 영국의 경험주의 전통에서 나왔다. 경험주의자들은 도덕의 원리도 경험을 통해서 얻고자 하였으며, 그들이 발견한 사실은 '모든 인간은 각자 자신의 쾌락과 행복을 추구한다.'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18~19세기 산업 혁명과 더불어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하고 사회 규모가 커지자, 이기적 개인이 어떻게 사회 속에서 공존할 수있는가 하는 문제가 부각되었다.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로서 공리주의가 등장하였다. 그 대표자라 할 수 있는 벤담은 사익과 공익의 조화를 위한 도덕과 입법의 원리를 제창하였다. 1
자연은 인류를 '고통'과 '쾌락'이라는 두 군주의 지배 아래 두었다.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지시하고, 또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오로지 이 두 군주의 몫이다. ·····
동기가 선 또는 악인 것은 오로지 그 결과에 따른 것이다. 즉, 그것은 쾌락을 산출하거나 고통을 피하는 경향 때문에 선이며, 고통을 산출하거나 쾌락을 피하는 경향 때문에 악이다.
-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론" -
위와 같은 벤담의 말에서 우리는 공리주의의 핵심적 주장을 알 수 있는데, 그것은 인간에게 쾌락이나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이 선이고, 행복을 감소시키거나 고통을 가져오는 것이 악이라는 것이다.
한편, 윤리의 사회적 측면에 관심이 컸던 벤담은 개인적 차원의 행복주의를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하였다. 그는 사회가 개인의 집합체이므로 개개인의 행복은 사회 전체의 행복과 연결되며, 더 많은 사람이 행복을 누리게 되는 것은 그만큼 더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하여 이른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원리가 실질적으로 옳음과 그름의 판단기준이 되려면, 쾌락과 고통의 가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방법은, 모든 쾌락을 계산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까지 제시하였다. 2
'윤리와 사상 > 서양 윤리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관념론 - 칸트의 도덕법칙 (0) | 2015.12.01 |
---|---|
밀의 질적 공리주의로 승계 (0) | 2015.11.22 |
인간의 행복과 도덕에 관한 논의 (0) | 2015.11.04 |
법 제도에도 반영된 이성주의와 경험주의 (0) | 2015.10.26 |
스피노자가 추구한 것 (0) | 201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