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그리스도교4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 사상 그리스도교가 좀 더 발전한 모습을 갖추려면 통일된 교리와 이론이 필요하였다. 그리스도교 교리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교부들의 노력으로 확립되었다. 교부 시대는 철학과 그리스도교가 만나 여러 종교적 학설이 탄생한 시기이다. 교부들은 그리스의 철학, 특히 플라톤의 철학을 받아들여 신앙을 체계화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모두 신앙이 철학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전제로 철학을 이용한 것이다. 교부 시대는 그리스도교의 통일된 교리를 확립하기 위한 긴 여정이었던 셈이며, 그것을 기반으로 로마 가톨릭이 성립할 수 있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처음에 플라톤주의적 관점에서 성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점차 플라톤의 가르침을 넘어서는 진리가 있음을 깨달았다. 그것은 인간을 향한 신의 끝없는 사랑과 은총이었다. 따라.. 2016. 9. 22.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융합 - 서양 문화의 형성 우리는 서양 문화의 특징을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융합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천여 년에 걸친 중세에는 그리스·로마의 고전 문화와 그리스도교라는 종교 사상이 결합하여 지배적인 정신 문화를 형성하였다. 예를 들어 대학, 의회, 영국법 등의 기원은 모두 중세에 비롯되었다. 근대 문명의 뿌리가 되는 중세의 사상과 문화는 신앙과 이성, 자유와 권위, 전통의 보존과 미래를 향한 의욕이 조화를 모색하던 것이었다. 고대 철학의 관심이 자연과 우주의 질서와 나의 관계에 있었다면, 중세 철학에서는 신과 나의 관계가 핵심이었다. 중세 철학의 관심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문제에서 ‘나’를 있게 한 존재의 근원을 찾는 데 있었다. 기원 후 1세기 예수에 의해 창시되고 바울Paul에 의해 로마 제국 전역으로 전파되기 시작한 그.. 2016. 9. 10.
19세기 말, 우리 눈에 비친 예수 그리스도교가 동양에 본격적으로 전래한 때는 2백여 년 전이었다. 이른바 ‘서학西學’이라고 불린 서양의 종교와 자연 과학 사상이 정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알려졌고, 유학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던 당시 지배층은 그리스도교에 반대하여 교리에 대한 비판은 물론 물리적인 금지 조치를 단행하였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그리스도교는 우리 땅에 수용되었다. 이때 우리 눈에 비친 예수의 모습은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 서양 선교사들은 동양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교 활동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동양 사람들에게 거부감 없이 그리스도교를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영국의 우화 작가 존 버니언Bunyan, J.(1628~1688)이 쓴 종교 우화 소설 “천로역정天路歷程”은 우리 조상에게 거부감 없이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이게 하려고 .. 2016. 8. 14.
기독교 사상의 근원은 유대 사상 서양 사상의 큰 줄기를 더듬어 보면 그리스도교 사상이 그 밑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유대교를 뿌리로 하여 예수가 창도한 종교로서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 보자. 2016.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