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윤리와 사상/동양 윤리사상62 전통 사상을 계승하기 위한 전제 사고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통 사상을 창조적으로 계승하려면 우리는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 전통 사상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려면, 우선 우리의 의식 세계와 행동 양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전통 사상의 내용과 특징을 확인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전통 사상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통 사상의 단점을 비판적으로 극복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해야 할 장점을 확인해야 한다. 아울러 우리는 전통 사상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 전통 사상은 과거의 사상일 뿐이고, 현대에는 맞지 않는다는 닫힌 자세는 자칫 우리의 정체성 자체를 부정하는 데에 이를 수있다. 전통 사상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가져야만 전통 사상의 창조적 변화와 다른 사상에 대한 수용적 자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무조건 전통 사상을 옹호.. 2015. 7. 28. 전통 사상의 의미 - 지속성과 가변성 우리 주변에는 조상이 남겨 놓은 유산 중에서 유용하고 가치 있는 것이 많이 있다. 여기에는 물질적인 유산 이외에도 우리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데 이바지한 정신적인 유산도 있다. 우리는 이러한 것을 통틀어 '전통傳統'이라고 부른다. '전통'이란 말은 전하여 이어져 내려온 것을 뜻한다. 다시 말해, 전통은 시간의 연속성을 의미하며, 과거로부터 이어진다는 측면에서 역사성을 가진다. '사상思想'이란 삶의 원리나 원칙을 의미한다. 이것은 구체적인 사고나 생각을 가리키며, 판단과 추리를 거쳐서 생긴 통일된 판단 체계를 말한다. 따라서, '전통 사상'은 과거에 지배적으로 통용되었던 삶의 원리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오늘날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 자산이다. 전통 사상이 한 사회의 역사 속에서.. 2015. 7. 24. 진천 농다리 - 천 년 된 돌다리 충청북도 진천에는 거의 천 년이 된 돌다리가 있다. '농다리'라 불리는 이 다리는 아직도 사람들이 오고 가며 이용할 정도로 튼튼함을 자랑한다. 지네 모양으로 다리를 놓아 물의 압력을 적절하게 분산시켰고, 유선형으로 돌을 쌓아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서 아직도 건재하다. 요즘의 철과 시멘트로 만든 다리와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기 때문에 전문가들도 이 다리의 과학 정신에 놀라고 미학 정신에 감탄한다. 2015. 7. 17. 조선 시대 우리의 이상적 인간상 '선비' 선비[士]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이상적 인간상이다. 선비는 불의와 타협하지 않고, 청렴을 몸소 실천하며, 학문과 도덕을 묵묵히 실천하였다. 이처럼 선비는 훌륭한 인품을 지닌 전통 사회의 대표적인 인격체이다. 다음은 선비의 모습에 관한 글이다. 학문하는 도리는 몸을 닦음에 있고, 몸을 닦는 방법은 검소한 것을 숭상하는 데 있다. 선비가 도道에 뜻을 두면서 좋지않은 의복, 거친 음식을 부끄러워한다면 족히 의논할 것이 없다. 그러므로 옛날 선비는 학문을 몸 닦는것으로 하고, 검소하기를 행실을 가다듬은 것으로 하여 비록 거친 밥과 나물국을 먹고 포의布衣(베로 만든 옷)에다 갈대 띠를 둘러매어도 처신하기를 편안히 하였다. 부귀로도 능히 미혹米或하게 못 하고, 빈천으로도 뜻을 바꾸게 못 하는 것이니, 곤궁해서 낮은.. 2015. 7. 11.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