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70 현대 철학의 출발은 데카르트로부터 현대 철학은 데카르트로부터 시작된다. 그의 근본적 확실성은 자기 자신의 존재와 사유의 사실이었다. 외계外界는 여기서부터 추리되는 것이다. 이것은 버클리·칸트·피히테로 이어지는 일련의 발전의 첫 단계에 불과했다. 이들에게 있어서는 모든 것이 다 자아Ego의 발산물에 불과했다. 이것은 불건전하다. 그리하여 철학은 이 극단으로부터 일상적인 상식의 세계로 피해 나오려고 계속적으로 노력해 왔던 것이다. 2016. 1. 14. 우리 민족의 정신적 뿌리와 민족 문화 문화는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존재하지만 그 성격은 사회나 민족에 따라 다르다. 민족 문화는 특정한 민족의 겪어 온 생활 경험과 생활 방식의 총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민족 문화는 구성원들에게 동질성을 부여하고,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우리 민족의 고유한 민족 문화는 토속 신앙인 경천애인敬天愛人 사상이나 단군의 건국 이야기에 포함된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 속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경천애인은 하늘을 공경하고 인간을 사랑하라는 의미로, 하늘을 경외하는[敬天] 삶이란 하늘을 닮아 사람들과 서로 사랑하면서[敬人] 살아가는 것이다. 홍익인간은 인간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의미로,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인간을 존중하면서도 하늘의 뜻을 거역하지 않는 순리적이고 조화로운 삶을 강조한 것이다.. 2016. 1. 14. 오르페우스 종교의 가르침 오르페우스(존재하였다면)가 무엇을 가르쳤던 간에, 오르페우스 종교의 가르침은 잘 알려져 있다. 그들은 영혼이 윤회한다는것을 믿었다. 영혼은 지상생활 여하에 따라, 내세에 영원한 축복을 누릴 수도 있으며, 영원한 고문을 받든가 또는 일시적인 고문을 당하든가 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들의 목표는 '정화淨化'되는 것이다. 혹은 정화를 위한 종교의식을 통하여, 혹은 어떤 종류의 부정한 것들을 피함으로써 정결pure케 되는 것이다. 그들 가운데 가장 정통적 교도들은 육식을 피한다. 다만 종교의식으로서 먹는 경우에만 동물의 고기를 먹는다. 그들은 주장하기를, 인간은 땅의 부분과 하늘의 부분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정결한 생활을 함으로써 하늘의 부분이 증대하여 가고 땅의 부분은 감소하여 간다. 마침내 인간은 바쿠스와.. 2016. 1. 11. 의견이 달라서 기준을 정하지 못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 선생님 : 오늘 학급 회의 시간에는 장학금 지급 기준에 대한 논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지급할지 각자 의견을 발표해 보세요. 우성 : 저는 필요한 학생에게 장학금을 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은 장학금이 없으면 공부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수빈 : 저는 공부를 잘하는 학생에게 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장학금은 누구나 받고 싶어 하기 때문에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16. 1. 10.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1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