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70

자본주의의 사회적 문제점 해결 자본주의 사회적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국가적 차원에서 사적 소유권에 대한 합리적인 제한을 통해 빈부 격차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중간 계층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계층 갈등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사적 소유권의 제한과 중간 계층의 확대는 인간의 존엄성 유지와 사회 통합의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개인의 이익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높은 도덕성을 바탕으로 한 상생의 문화를 확립해야 한다. 또한, 개인이나 사회적 차원에서 자선이나 기부 등을 통해 빈부 격차와 계층 간의 갈등을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욱 가난해질 것이며, 계층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할.. 2016. 1. 18.
바쿠스 신화의 일화 바쿠스 신화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그것들 가운데 하나에 의하면, 바쿠스는 제우스와 페르세포네Persephone의 아들이며, 아직도 소년시절에 티탄Titan에게 찢기어 그 살은 다 먹혀 버리고 심장밖에 남지 않았다고 한다. 이 심장을 제우스가 세멜레에게 주었다는 말도 있고, 또 어떤 사람들은 제우스가 그것을 삼켜 버렸다고 한다. 어쨌든, 그와 같이 하여 바쿠스는 두 번째 출생하게 된다. 바쿠스의 무녀들이 들짐승을 찢으며, 그 생고기를 먹는 일은 티탄들이 바쿠스를 찢어 먹는 것을 종교의식화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동물은 어떤 의미에서 바쿠스 신의 화신이라고 할 수 있다. 티탄들은 본래 땅의 태생이었으나, 그 신을 찢어 먹은 후로는 신성神性의 흔적을 얻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하여 인간은 땅의 부분과 .. 2016. 1. 17.
불교의 이상적 인간, 보살 석가모니가 제자인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보살은 마땅히 그 마음에 번뇌를 없애야 하나 이른바 세상에 있는 온갖 중생을 내가 모두 제도하여 비할 데 없는 열반에 들도록 하리라 하라. 이렇게 한없고 끝없는 중생을 제도하되 실제로는 한 중생도 제도를 받은 이가 없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 만일 어떤 보살이 물질로 이루어진 나를 참 나라고 집착하고, 자신은 동물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데 집착하고, 자신은 물질에 의지해서 살아간다고 집착하고, 일정 기간 동안은 목숨이 있다는 데 집착하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다." - "금강반야바리말경金剛半若波蘿密經" - 불교의 개조로, 이 세상의 고통과 번뇌를 벗어나 해탈할 것을 주장하였다. 2016. 1. 16.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대상이 행위 자체인지 아니면 그 행위에 적용되고 있는 규칙인지에 따라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로 구별된다. '행위 공리주의'는 공리의 원리를 개별적 행위에 직접 적용하여 행위의 선·악을 분별한다. 이에 비해서 '규칙 공리주의'는 공리의 원리를 행위에 직접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가 의존하고 있는 규칙에 적용하여 최대의 공리를 산출하는 규칙을 선정한 다음, 이 규칙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행위의 선·악을 판단한다. 2016.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