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70 재능이 있는 사람이나 숙련공이 보다 높은 보수를 받아야 하는가? 서로 협동해야 하는 산업 조직에서 재능 있는 사람이나 숙련공이 보다 높은 보수를 받는 것은 정의로운가, 정의롭지 않은가? 정의롭지 않다고 부정적으로 대답하는 쪽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은 모두 동등한 보수를 받아야 하고, 자신의 잘못이 아님에도 낮은 지위에 처하는 것은 정의롭지 않다. 훌륭한 재능을 지닌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열정적으로 칭찬하고 선망하는 가운데 내심의 만족을 얻었다. 따라서 다시금 세속적인 재화를 더 많이 할당받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미 충분한 이익을 받은 셈이다. 정의를 위해서는 사회가 이런 불평등을 확대시키기보다는 재능을 타고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과도한 불평등을 보상해야만 한다. 이와 반대편에서 선 사람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사회는 보다 유능한 노동자.. 2016. 1. 22. 한·중·일 삼국 유교 사상의 지역적 특징 한·중·일 삼국을 비교해 보면 유교 사상의 전개와 발전은 학국과 중국에서는 대체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일본은 여러 면에서 달랐다. 사회적 역할 측면에서 중국과 한국의 유교 사상은 주류 문화로서 교육과 통치 이념의 중심에 자리 잡았다. 반면에, 일본의 유교 사상은 신도와 불교의 영향으로 주도적 위치에 오르지 못하였다. 일본에서는 줄곧 불교의 영향이 강했고, 에도 시대에 들어서야 주자학이 관학이 되었다. 하지만, 일본의 주자학은 중국이나 한국과 달리 불교를 비판할 때 계속해서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성리학 내부의 다른 학파를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삼국은 다른 모습을 보였다. 주자학이 형성된 이후에도 중국에서는 심학心學이 용인되었으며, 결국에는 양명학이 주도적 위치에 올랐다. 하지만, 한국에서 양명학은 .. 2016. 1. 21. 정치에서의 무정부주의와 철학에서의 주권주의 정치에서의 무정부주의는 철학에서의 주권주의를 언제나 동반한다. 이미 루터의 생존시에 환영받지 못하고 인정받지도 못한 제자들이 재세례파再洗禮派Anabaptism의 교리를 발전시켰다. 이 교파는 한때 뮌스터Minster 시를 지배하기도 했다. 재세례파는 모든 법률을 배척했다. 왜냐 하면, 선인은 순간순간 성신의 인도를 받기 때문에 어떤 일정한 형식에 매일 수가 없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 전제로부터 그들은 공산주의와 성적 난혼주의亂婚主義로까지 발전해 갔다. 그리하여 그들은 결국 영웅적인 저항 끝에 근절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교리는 그 약화된 형태로 네덜란드·영국·미국 등으로 퍼져 갔다. 퀘이커교Quakerism는 역사적으로 볼 때 여기서 온 것이다. 19세기의 종교와는 아무 관련성도 없으나 더 격렬한 .. 2016. 1. 20. 도덕적 판단을 위한 삼단 논법 도덕 원리, 사실 판단, 도덕 판단의 구조는 삼단 논법의 대전제, 소전제, 결론의 구조와 같다. 다음과 같은 삼단논법을 도덕문제에 적용하여 살펴보자. 대전제 : 법을 어기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 (도덕 원리)소전제 : 무임승차는 법을 어기는 행동이다. (사실 판단)결 론 : 무임승차를 해서는 안 된다. (도덕 판단) 이와 같은 도덕적 문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는 우선 도덕 문제를 명확히 하고, 각 주장에 대한 도덕 원리와 사실 판단을 찾을 뒤, 이를 근거로 지지할 수있는 도덕 판단을 내려야 한다. 때로는 일상 생활에서 우리는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도덕 원리나 사실 판단을 생략하여 진술하기도 한다. 그러나 잘못된 주장이나 결론은 잘못된 전제를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올바른 추론을 하기 위해서.. 2016. 1. 19.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1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