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70 분배 정의의 의미와 필요성 자본주의 경제 체제에 살고 있는 우리는 부의 불평등한 분배와 불공정성에 대해 많은 우려를 하고 있다. 많은 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 부를 바탕으로 더 많은 부를 얻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더욱 적은 소득을 얻어 빈부 격차가 커진다. 이런 빈부의 격차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를 어떻게 분배해야 할까? 사람들은 협동을 통해 더 큰 이익을 얻는다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얻은 이익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쉽게 합의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익의 분배를 결정해 줄 사회 체제를 선정하고 적절한 분배의 몫에 합의하기 위한 원리가 필요한데, 이것을 분배 정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분배 정의란 각자가 응분의 몫을 누리는 상태를 말하며, 그런 사회를 정.. 2015. 12. 29. 칸드의 선의지 " 이 세상에서, 아니 이 세상 밖에서라도 무제한적으로 선하다고 생각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선의지뿐이다. 지성, 기지, 판단력, 그밖에 정신의 재능이라 불릴 수 있는 것들, 또 용기, 결단력, 끈기 같은 기질상의 속성들도 틀림없이 여러 가지 점에서 선하고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흔히 성품이라 부르는 이러한 천부적 재능이나 기질조차도 그것을 사용하는 의지가 선하지 못하다면, 지극히 악하고 또 해로운 것이 될 수도 있다." - 칸트, "도덕 형이상학 정초" - 2015. 12. 28. 종교 개혁이 성공하게 된 이유 16세기 이후의 유럽의 사상사는 종교 개혁에 의해 지배되었다. 종교 개혁은 복잡한 다면적인 운동이었다. 그리고, 그것이 성공하게 된 것도 이 원인의 다양성에 있었다. 종교 개혁은 주로 북방 민족의 로마 지배에 대한 반역이었다. 로마는 지금 새로운 지배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 북방 민족을 복종시킨 힘은 종교였다. 그러나 이탈리아에서는 이미 종교가 쇠퇴해 버렸다. 교황 제도는 한 제도로서 남아있었고, 독일과 영국으로부터 거액의 공물을 뽑아내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경건했던 이 민족들은 이미 보르지아 가문이나 메디치 가문에 대해 아무 존경심도 느낄 수가 없었다. 그들은 돈만 내면 영혼을 연옥에 떨어지지 않게 구원할 수가 있다고 선언하고, 그 돈으로 사치와 타락에 열중했던 것이다. 민족적 동기, 경제적.. 2015. 12. 27. 비판적 사고가 필요한 이유 억압받고 있는 의견이 때로는 올바른 것인지도 모른다. 그 의견을 억압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그 의견의 진실을 부정할 것이 분명하지만 그들의 판단만이 언제나 옳다는 보장은 어느 누구도 할 수 없다. 누구도 전 인류를 대신해서 문제를 결정하고, 다른 모든 사람들의 판단력을 빼앗을 만한 권위를 가질 수 없다. 모든 토론을 침묵하게 하는 것은 '인간의 절대 무오류성'을 가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끊임없이 잘못 판단하고, 잘못 행동하면서 살아간다. 사람들은 자신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불행하게도 실제로 자신이 판단을 내릴 때에는 이를 거의 문제 삼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신이 잘못을 저지를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예방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거나, 자기가 확실하다고 느끼는 것이 잘못된 .. 2015. 12. 26.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1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