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덕성과 세상/이상적인 삶60

진정한 앎이란? - 논어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사서四書의 하나이다. "논어"는 스승인 공자으 말[語]을 의논하여[論] 편찬했다는 의미이다. 2016. 5. 15.
진정한 공부는 좋아해서 해야 "자식에게 물고기를 잡아 주지 말고, 물고기를 낚는 방법을 가르치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만일 어린아이가 바다를 사랑하면 어떻게 될까? 그는 자연스럽게 바다에 나가 수영도 하고, 뗏목도 만들어 보고, 고기도 잡아 볼 것이다. 즉, 어릴 때부터 바다를 사랑해 왔던 사람이라면,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물고기를 잘 잡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우리는 어린아이가 바다를 사랑하기도 전에 어떻게 해서든 물고기를 많이 잡아야 한다고 강요하고 있다. 주입식으로 고기 잡는 방법의 요점만을 가르치고, 남들보다 앞서 가야한다는 경쟁의식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아이에게 물고기를 잡는 과정은 삶의 행복보다는 힘든 노동이기 때문에, 즐거움은 멀어질 것이다. 여러분에게 누군가가 공부를.. 2016. 5. 3.
이상적인 인간이 될려면 진정한 앎을 추구해야 지금까지는 동양, 서양, 그리고 우리나라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알아보자. 이는 오늘날 우리가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지智'는 동서양의 이상적 인간이 공통적으로 갖추고 있는 덕목으로서, 이성과 지혜를 발휘하여 자신과 세계를 바르게 아는 것이다. 여기서 앎이란 도덕적 지식을 바탕으로 올라른 도덕적 판단과 실천에 필요한 지혜를 갖추는 것을 말한다. 소크라테스는 무엇이 선善인지 알면 그것을 실천하게 된다고 보았다. 그는 사람들이 악惡을 행하는 이유는 무엇이 옳고 그른지 모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결국, 올바른 행동은 올바른 지식에서 나오는 것이므로 우리는 끊임없는 사색과 반성을 통해 자신의 무지無知를 자각.. 2016. 4. 21.
풍류도의 의미에 관한 현대적 연구 화랑도란 후세에 붙인 이름이고 원래는 풍류風流, 또는 풍월도風月道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화랑도 정신의 뿌리이다. 화랑 가운데 대표자를 국선國仙이라 하였는데, 최치원 당시만 하더라도 화랑도의 역사를 적은 "선사"가 있었다. 최초의 국선인 설원랑薛原郞의 비가 명주溟州에 있었으며 후세의 난랑鸞郞의 경우 최치원과 같은 명망 있는 학자가 비문을 쓸 만큼 존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삼국 통일보다 1세기 전에 화랑도를 중창重創한 진흥왕이 "나라를 중흥시키려면 모름지기 풍월도를 해야 한다." 라고 한 문맥으로 보아, 풍월도가 그럴 만한 의미와 내용이 있는 것이니 그것을 바탕으로 새롭게 발전시켜야 한다는 뜻으로 봄이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 그런데 고유 사상인 '풍류' 속에 삼교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거나.. 2016.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