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덕성과 세상251

배아 줄기세포 연구와 인간의 존엄성 및 공동선 배아 줄기세포란 배아의 발생 과정에서 추출한 세포로서,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으나 아직 분화하지않은 세포를 말한다. 수정란은 세포 분열을 통하여 배반포를 형성하는데, 그 안쪽에 내세포괴라는 세포 덩어리가 있어 이것이 배아를 행성한단. 이 내세포괴 세포를 배반포에서 분리하여 배양하면 배아 줄기세포가 된다. 배아 줄기세포는 이론상 무한정 세포 분열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상이나 질병 등으로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그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개대되고 있다. 그러나 배아 줄기세포의 연구는 인간이 될 수도 있는 수정란을 파괴하므로 인간의 존섬성을 무시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2015. 5. 12.
결정론적 사고의 이해 - 유전자 결정론, 환경 결정론 유전자 결정론 1980년 미국의 로버트 그레이엄이라는 백만장자가 정자은행을 설립하였다. 그레이엄은 열등한 유전자를가진 사람 대신 우수한 유전자를가진 사람이 자식을 많이 낳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레이엄에 의하면 인간은 부모에게서 받은 유전자에 의하여 지능과 교양이 결정되며, 인간의 유전 정보는 염색체에 들어 있어 부모의 데옥시리보 핵산DNA은 자식에게 전달되므로 천재가 낳은 아이는 천재가 될 것이 확실한 일이었다. 결국, 우수한 유전자가 널리 퍼지면 인류의 미래에 대하여 안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그는 결국 '노벨상 정자은행'을 세우고 노벨상 수상자 세 사람의 정자를 제공받아 '우편배달 주문 아기'를 생산하는 업무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주문아기 사업은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그레이엄이 기대한 결과를 낳.. 2015. 5. 11.
사회 갈등 사례의 현장 경기도 구리시의 소각장 구리시는 소각장의 입지 선정 때부터 네 차례에 걸쳐 주민 의견을 수렴했다. 또한, 인근 남양주시와 사업 교환을 통해 구리시는 소각장을, 남양주시는 매립장을 각각 건설해 공동 사용하는 방안을 합의했다. 시민을 위해 사우나 시설을 겸한 수영장, 인조 축구장 등 다양한 편의 시설과 소각장 굴뚝을 이용한 전맹대를 설치해 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충북 제천시 폐기물 종합 처리장 제천시는 폐기물 처리장의 입지를 선정할 때 마을 발전 기금으로 30억 원을 제공하겠다는 조건을 내걸고 공모했다. 동시에 주민들을 대상으로 선진 시설 견학을 실시하고, 민간 위주의 입지 선정 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 입지 선정의 객관성과 공정성,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전북 부안군 핵폐기물 처분장부안 핵폐기.. 2015. 5. 9.
국가의 역할 - 소극적 국가관과 적극적 국가관 국가는국민을 위해 많은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국가의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대나 사회의 요구에 따라 축소되거나 확대되었다. 국가의 역할을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을 소극적 국가관이라고 한다. 이 입장에 따르면, 국가가 개인의 삶을 간섭하고 통제할 경우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제한될 수 있다. 국가의 간섭 없이도 '보이지 않는 손'이 국가 전체의 이익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국가는 국방이나 치안, 사유 재산의 보호 등과 같은 최소한의 역할만을 수행해야 한다. 이런 소극적 국가관은 '작은 정부가 좋은 정부'라는 자유방임주의를 표방한다. 이와 달리 국가의 역할을 확대하려는 입장인 적극적 국가관도 있다. 이에 따르면, 개인의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경제적 불평등, 대량 실업과 빈곤, 환경 오염 등의 문제가.. 2015. 5.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