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윤리와 사상/사회 사상68 '목민심서牧民心書'에 나타난 지방 수령의 자세 "목민심서"는 백성의 눈으로 당시 사회를 바라본 정약용이 제시한 지방관의 지침서이다. 이 책은 수령이 임명을 받아 부임하여 행장을 꾸리는 데부터 시작하여, 수령이 업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자세와 마음가짐, 그 직을 마치고 떠나는 순간까지 수령으로서의 역할이 수록되어 있다. 수령으로 부임할 때에는 한턱내는 등의 비용을 쓰지 마라.가족은 되도록 데려가지 말아야 하며, 말을 많이 하지 말고 화를 내지 말아야 한다.봉급만으로 생활하고, 떠날 때 남은 돈은 그대로 두고 오라.공과 사를 분명히 가려야 한다.고관들에게 선물하지도 말고 받지도 말아야 한다.백성 사랑하기를 자기 아내나 자식처럼 하라. 틈이 나는 대로 "서경", "논어", "중용", "대학" 등을 보라. 2015. 8. 6. 민본주의의 조건 군주의 도덕적 자질과 도덕적 통치를 강조하는 민본주의는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형성되어 발전하였다.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는 홍익인간의 정신에서 비롯된 우리나라의 민본 사상은 면면히 계승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민본주의는 성리학이 융성하였던 조선 시대에 더욱 강조되었다. 조선의 건국을 주도했던 정도전은 민본 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정치·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을 주도하였다. 그는 군주의 도더적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경연의 제도화, 관료제의 자체 정화 기능으로서의 어사 및 감사 제도 등을 도입하였다. 특히, 세종은 군주로서 '훈민정음'을 반포할 만큼 백성을 사랑한 민본 사상의 실천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약용은 민본주의 실현을 위해 진일보한 사상을 제시하였다. 그는 백성을 단순히 통치의 대상으로만 보.. 2015. 7. 31. "서경"에 나타난 민본 사상 "서경書經"은 고대 중국의 역사서로서 '상서尙書'라고도 한다. "서경"은 유가의 오경五經 중의 하나로 중시되었으며, 동양 민본 사상의 뿌리가 되었다. 다음과 같은 "서경"의 구절을 통해 백성의 뜻을 하늘의 뜻으로 알고 중시한 민본 사상을 엿불 수 있다. 하늘이 듣고 보는 것은 백성을 통하여 듣고 보는 것이다. 하늘이 밝히고 두렵게 하는 것 또한 우리 백성을 통하여 밝히고 두렵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하늘과 백성은 통하는 것이니, 땅을 다스리는 사람은 백성을 공경해야 한다. 백성이 나라의 운명을 죄우한다. 2015. 7. 27. 민본주의의 특성 서양의 민주주의 전통에 상응하는 동양의 정치 이념은 민본주의이다. '민본民本'이라 말은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본이 견고해야 나라가 평안하다."라는 "서경"의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그만큼 민본 사상은 일찍부터 형성되었고, 이후에도 위민爲民과 애민愛民을 근간으로 발전하여 동양 정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 고대의 민본 사상을 계승한 공자는 한집안의 가장이 인애仁愛의 덕으로 가족을 이끌어 가듯이, 군주도 법령이나 형벌로 백성을 다스릴 것이 아니라, 인을 중심으로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그는 인격을 갖춘 군주가 솔선수범하여 덕으로써 다스리는 정치를 강조하였다. 이어 맹자는 왕도 정치를 제시하여 민존부의를 확고히 하였다. 그는 무력으로 다스리면서 겉으로 인을 꾸미는 정치는 패도覇道일 뿐이라.. 2015. 7. 20.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