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70 유교 사상과 성리학 - 도덕적 이상 사회 삼국 시대에 이미 유교 사상을 주체적으로 수용한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정치 원리로서뿐만 아니라 윤리 사상과 생활 원리로서 유교 사상을 폭넠게 응용하였다. 고려 말에 이르러 원元나라로부터 본격적으로 성리학을 수용하였고, 조선에 이르러 성리학은 정치와 교화의 원리로 채택되어 조선의 통치 이념이자 윤리 사상으로 자리 잡았다. 조선 초기의 학자들은 성리학의 초보적인 이해에서 벗어나 왕성한 이론 탐구와 더불어 도덕적 실천에 주목하였다. 도덕적 인간관의 확립을 위해 그들은 자아를 수양하여 도덕적 인격 완성에 이르는 실천적 방법을 제시하였고, 더 나아가 현실적인 정치에 이를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도덕적 이상 사회를 만들려고 노력하였다. 2016. 3. 21. 오르페우스의 결사結社 창설과 공동체 조직 이 새 종교는 어떤 의미에서는 새로웠으나 또 어떤 의미에서는 인류의 기원과 같이 옛 것이었다. 오르페우스 결사結社들의 창설과 더불어 최고조에 달하였다. 우리가 아는 한, 이 결사들의 근원지는 아티카Attika였다. 그러나 대단히 급속도로 퍼져 나가, 특히 이탈리아 남부와 시실리에 두루 퍼졌다. 이것들은 처음에는 디오니소스를 숭배하기 위한 연합체였다. 그러나 두 가지 특질 때문에 이것들은 구별되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그리스 사람들 사이에 새로운 요소들이었다. 이들은 먼저 종교적 권위의 근거를 계시에 두었다. 그리고 그들은 인위적인 공동체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그 신학을 담고 있는 시詩들은 모두 트라키아 사람인 오르페우스에게 돌렸다. 그리고 오르페우스는 몸소 '황천黃泉'에 내려갔었다고 한다. 따라서, 몸.. 2016. 3. 20. 추론에서 복합 질문의 오류 겉으로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한 가지의 질문 같지만 실제로는 두 가지 이상의 질문이 결합된 것으로, 상대방의 한 가지 대답에 대해 반대 주장을 펼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는 경우의 오류이다. 예를 들어, "너 지금도 매일 공부 안 하고 놀기만 하니?"라는 질문에 대해 "아니요." 라고 답하면 과거에는 매일 놀기만 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또한, "그렇다." 라고 대답해도 과거부터 지금까지 늘 놀기만 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2016. 3. 19. 마르크스, 뛰어난 사상에 앞선 경제적 불행 마르크스는 뛰어난 사상가였지만, 그의 생활은 비참하였다. 그는 기득권층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을 썼다는 이유로 국외로 추방되어 결국 영국으로 망명하였다. 그는 이상적인 동지이자 공동 작업자였던 엥겔스의 도움을 받았으나, 런던의 다락방에 살면서 빚쟁이들의 독촉이 심해지면 숨어 지내고 때로는 옷을 전당포에 맡길 정도로 가난에 시달렸다. 그는 런던에서 두 아들과 딸등 세 명의 자식을 잃었으며, 딸이 죽었을 때는 관을 마련할 돈조차 없어서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간신히 관을 마련했다고 한다. 2016. 3. 18.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1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