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70 그리스 종교가 동방의 종교에 도달하지 않은 이유 그리스 종교는 이 때 바로 '동방東方'의 종교가 도달한 단계에 들어가려고 하였다. 그러나 과학의 발달이 아니었다면 어떻게 이 경향을 저지할 수 있었을는지 알 수 없다. 그리스 사람들의 종교가 '동방적'인 형식의 종교로 되지 않은 것은, 그들이 사제의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었다고 보통 일컬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결과를 원인으로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사제들은 교의敎義를 만들어 내지는 않는다. 다만, 일단 만들어진 교의를 보존할 따름이다. 그리고 동방 사람들도 그 발전단계의 초기에는 사제제도를 가지지는 못했던 것이다. 그리스 사람들을 동방식 종교에서 구한 것은 사제제도의 결핍 때문도 아니며, 학원學園들이 존재했기 때문도 아니었다. 2016. 3. 17. 한국의 이상적 인간 - 화랑과 선비 동서양과 마찬가지로 한국인들도 한국적 상황에서 이상적 인간을 추구하였다. 한국의 이상적 인간상은 고유한 사상을 바탕으로 외래문화를 받아들여 형성한 것이다. 한국의 이상적 인간으로는 우선 화랑을 들 수 있다. 화랑은 대체로 신라 시대에 고대 사회의 독특한 기풍과 종교에 의해서 정립된 인간상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이들은 도의道義를 닦고 가악歌樂을 즐기며 산천을 유람하면서 먼 지방까지 갔다. 이렇듯 화랑은 인격과 덕망 등을 기르고 함께 즐기면서 바르고 바르지 않은 사람을 분별하였는데, 바르고 충실한 자는 국가에 등용되었다. 화랑은 의로움을 가장 귀한 가치로 여겨, 이를 위해서 목숨을 바치거나 전쟁에서 싸우다가 죽는 것을 명예롭게 여겼다. 선비는 고려 및 조선 시대에 이상적으로 생각한 인간상이다. 선비는.. 2016. 3. 16. 아리스토텔레스의 품성적 덕 - 실천적 지혜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품성적 덕은 비이성적인 부분이 이성의 올바른 명령에 따를 때 갖출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어떤 감정을 가져야 하고,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는가를 선택하고 결정하려면 심사숙고라는 이성적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특히, 욕구는 우리의 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리가 덕을 갖추려면 욕구는 물론 욕구 충족의 방식과 목적도 올바른 것이어야 한다. 이성의 올바른 방향 제시가 없다면 우리의 자유 의지는 나쁜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우리의 욕구가 이성과 결합할 때 우리는 올바르게 행위하고, 덕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품성적 덕은 지성적 덕을 요구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천적 지혜'가 품성적 덕을 갖추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하였다. 실천적 지혜는.. 2016. 3. 15. 그리스 사상에 끼친 각 종교의 영향 그리스 사상에 끼친 종교의 영향은, 더욱이 올림포스 종교 이외의 종교가 끼친 영향에 관해서는 최근에 이르기까지 충분하게 인식되지 못하였다. 제인 해리슨Jane Harrison의 혁명적인 책인 『그리스 종교 연구 서설Prolegomena to the Study of Greek Religion』에서는, 보통 그리스 사람의 종교 속에는 다 들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콘퍼드F.M.Cornford는 그의 『종교에서 철학으로From Religion to Philosophy』에서 그리스 철학 연구가들에게 철학자들에 대한 종교의 영향에 관하여 알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설명은 여러 가지 점에서 전적으로 용납될 만하지는 못하고, 이 문제에 있어서는 그의 인류학도 같은 평을할 수가 있다. 내가 아는 바로.. 2016. 3. 14.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1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