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70

사회주의에서 평등의 이상과 현실 사람들은 자유 못지않게 평등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있다. 사회주의에서는 자본주의의 경제적 불평등이 사유 재산제에서 비롯되므로,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 혹은 국유화를 통해 평등 사회를 이룩할 수 있다고 보았다. '평등'은 사회주의에서 가장 중시하는 가치 덕목이다. 레닌이 주도한 러시아 혁명(1917)은 바로 분배의 평등이 이루어진 이상 사회를 건설하고자 한 것이다. 소련에 이은 동유럽의 사회주의 국가 또한 평등 사회를 이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소련을 비롯한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는 '계급 없는 평등 사회'라는 유토피아적 목표를 현실에서 실현하지 못하였다. 그들이 평등을 추구할수록 개인의 자유는 더욱 억압되고 일에 대한 동기는 약화하여 결국 경제 침체의 늪으로 빠지게 되었다. 구소련에서는 물자 부족 현상을 해.. 2016. 4. 2.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구에서 주의할 점 어떤 철학자나 중요한 인물을 연구할 때, 우리는 언제나 두 가지 방법으로 연구해야 한다. 즉, 그 철학자 이전 사람들과의 관계하에 그 사람을 연구해야 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또 그 후계자들과의 관계하에 연구해야 하는 것이 다른 하나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는 이 점에 있어서 누구보다도 더 필요하다. 전자의 측면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장점은 대단히 큰 바 있고, 후자의 측면에서는 그의 단점도 마찬가지로 크다. 그러나 그의 단점에 대해서는 그의 후계자들 편에 더욱 책임이 크다. 그는 그리스 사상의 창조적 시기의 말기에 나왔다. 그리고 그가 죽은 후에는 2000년 동안이나 그와 비견할만한 철학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이 긴 시기의 말기에 이르러 그의 권위는 거의 교회의 권위와도 같이 무조건적인 것이 되어.. 2016. 4. 1.
사람에의 논증으로부터 오는 추론의 오류 추론의 옳고 그름을 펼치는 사람의 직업이나 지위, 재산, 경력 등을 들추어내면서 상대방의 주장을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오류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사람이 신을 믿지 않는 사람이라거나 가난한 사람이라서 그 사람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 "베이컨은 불성실하다는 이유로 대법관의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렇기 때문에 베이컨의 이야기는 다 틀렸다."라는 주장도 이에 해당된다. 2016. 3. 31.
덕 있는 사람이 되는 방법 인간이 덕을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리스토텔레스는 덕 있는 사람이 되려면 좋은 것과 나쁜 것에 대한 앎을 토대로 덕 있는 행위를 꾸준히 반복해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앎이 실제 행위로 나타날 수 있도록 의지의 힘을 강하게 키워야 한다고 하였다. 왜냐하면, 습관이 되면 실천을 방해하는 의지의 나약함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습관은 덕 있는 행위를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앎이 반드시 행위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앎이 실제 행위로 나타나려면 '의지'가 동반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크라테스가 주장한 주지주의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앎과 행위의 사이에는 '의지의 나약함'이라는 문제가 놓여 있다고 주장하였다. 의지가 나약한 사람은 어떤 것이 좋은 것인.. 2016.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