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70

이성주의 인간관에서 본 인간의 본질 인간이 지니고 있는 기능은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영양 섭취와 같이 생존에 꼭 필요한 생명의 기능이다. 둘째는 감각과 운동의 기능이며, 셋째는 정신의 이성적 활동 기능이다. 이 가운데 생명의 기능은 식물에게도 있다. 또한, 감각과 운동의 기능은 소나 말과 같은 동물에게도 있다. 따라서 우리가 지금 찾고 있는 사람만이 지닌 특별한 기능은 정신의 이성적 활동 기능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한다는 것은 바로 이 이성적 활동을 잘 수행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의 이성적 활동은 그 활동에 알맞은 행위의 규범, 즉 덕을 가지고 수행할 때 보다 잘할 수 있다. 따라서 선善이란 덕과 일치하는 정신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모두가 이성적 활동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 2016. 3. 4.
행복의 필수 조건으로서 덕 - 중용中庸의 덕 고대 그리스의 사상가들은 '덕'을 일종의 '훌륭함', '탁월함'이라고 생각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인간의 고유한 기능을 가장 잘 발휘하는 상태라고 생각하였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이성적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덕한 인간은 이성적 기능을 잘 발휘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정신(영혼)은 순수하게 이성적인 부분과 이성적인 것을 함께 가지는 부분, 이성적인 것을 전혀 가지지 않은 부분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그는 덕을 두 가지로 나누었다. 하나는 지성적 덕으로 정신의 첫 번째 부분의 훌륭함이고, 다른 하나는 품성적 덕으로 정신의 두 번째 부분의 훌륭함이다. 먼저, 품성적 덕은 인간의 감정이나 행위와 관련된 덕이다. 예를 들어.. 2016. 3. 3.
그리스 사람들의 성향 - 감정과 지성의 결합 그리스 사람들은 전체는 아니라 할지라도, 대부분이 정열적이었고, 불행했으며, 스스로의 내부에 갈등을 가지고 있었다. 즉, 한편으로 지성에 이끌려 한 길을 달리려고 할 때, 또 한편으로는 감정에 이끌리는 또 다른 길을 달리게 된다. 하늘까지 생각하는 상상과 지옥을 만들어 내는 방자한 자기주장과의 갈등, 이런 내부적 갈등을 그리스 사람들 대부분이 가지고 있었다. 그들의 격언은 '아무 일에도 지나치지 않게'였다. 그러나 그들은 사실상 모든 일에서 과격하였다. 순수 사상에 있어서, 시에 있어서, 종교에 있어서, 그리고 죄에 있어서, 어느 점에서도 그들은 과도했다. 그들을 위대하게 만든 것은 감정과 지성의 결합이었다. 이 두 요소 가운데 어느 하나만 가지고서도 세계를 그들이 변형하여 버린 것처럼 변형하지는 못했을.. 2016. 3. 3.
중화주의中華主義이란 무엇인가 다음글에 나타난 사고방식이 자기 민족에게 미치는 영향과 다른 민족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2016.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