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70 엘레우시스 찬가 엘레우시스 사람의 신비종교는 아테네의 국교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이루고 있는 것인데, 그 엘레우시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찬가가 불리어졌다. 술잔을 높이 흔들며,미칠 듯한 환락과 더불어엘레우시스의 꽃 피는 골짜기로오라! 그대 바쿠스여.비언Paean가를 부르자, 만세!(피언가는 아폴로 신에게 드리는 축가.) 2016. 2. 16. 달리기 대회에서의 공정성 ※ 수철이와 재현이에게는 공정한 대회인가? 달리기 대회를 한다고 가정해 보자. 일반적으로 모두가 달리기 대회에 출전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기회의 균등이다. 그렇다면 모두가 출발선에 서서 출발했다고 하자. 집안 형편이 어려운 수철이는 부모님 일을 도와주느라 연습을 못해서 1등을 하지 못했다. 반면 집안 형편이 좋은 재현이는 평소 연습한 대로 열심히 달려서 1등을 했다. 2016. 2. 15.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차이 학생 : 선생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같은 건가요? 선생님 : 좋은 질문이구나. 대체로 일상생활에서는 같은 의미로 사용한단다. 하지만, 둘은 분명한 차이가 있단다. 학생 : 어떤 차이가 있나요? 선생님 : 마르크스의 주장에서 출발하는데, 그는 미래 사회는 계급 없는 '공산주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단다. 학생 : 그럼 공산주의는 계급이 없는 사회를 말하는 군요. 선생님 : 그렇지. 반면에 사회주의는 자본주의가 붕괴하고 완벽한 공산주의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도 단계를 의미한단다. 2016. 2. 14. 철학의 발전을 통하여 유지되어 온 두 부류의 분류 기원전 600년으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긴 발전을 통해 철학자들은 두 부류로 분류되어 왔는데, 사회적 결합을 강화시키기를 원하는 사람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그 결합을 완화시키기를 원하는 사람들이다. 꼭 이 두 부류에 속하지 않는 다른 철학자들도 모두 이 차이와 관련시킬 수 있다. 규율주의자規律主義者disciplinarian들은 낡은 것이든 새 것이든 일정한 교의敎義 체계를 제창한다. 그러므로 그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과학에 대해 적대시하게 되지 않을 수 없었으니, 그들의 교의란 것은 경험적으로 증명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항상 행복이라는 것이 반드시 선이 아니라는 것을, 그리고 '고상함'이라든지 또는 '영웅적 행위' 등이 더 좋은 것이라고 가르쳐 왔다. 그들은 인간성에서 비합리적인 부분.. 2016. 2. 13.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1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