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70

㉠, ㉡, ㉢ 서술 부분의 편견과 오류 찾기 민수 : ㉠ 나라를 위해 남자가 많이 필요해. 사실 국제 질서가 날로 엉망이 되는데 이래서야 어디 불안해서 살겠니? 철수 : 하지만 여자 아이들로 나라를 위해 필요한 인재야. 민수 : ㉡ 아니야. 나라에서 큰일을 하는 경찰이나 판검사들은 대부분 남자였어. 그것으로 볼 때 남자들은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하는 인물이 될 확률이 높아. ㉢ 게다가 요즘 세상이 워낙 무섭잖아. 살기도 각박하고. 그래서 여자라면 세상 살기가 불안할 것 같아. 불안하지 않을 수 없지. 왜냐하면 세상이 워낙 무서우니까. 2016. 2. 12.
칸트와 "실천 이성 비판" 칸트Kant, I.(1724~1804)는 서양 근대 사상이 지향했던 도덕적 이상을 집대성한 사람이다. 그에게서 우리는 오늘날 우리가 추구하는 자유 민주주의 사회의 초석이 되는 정신을 찾아볼 수 있다. 자유 민주주의 사회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존엄한 존재임을 전제하는 사회이므로, 거기서 통용되는 윤리는 보편주의와 인격주의에 입각한 윤리일 수밖에 억다. 그것은 모든 인간이 도덕적으로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하고, 인격을 지닌 존재로서 그 자체로 존중되어야 한다는 정신을 담고있다. "실천 이성 비판"의 다음 구절은 이러한 정신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의무, 너 위대하고 숭고한 이름이여! 너는 환심을 살 만한 사랑받을 아무것도 네 안에 갖지 않은 채 복종을 요구한다. 너는 아무런 위험도 하지 않으면서, 법칙만을 .. 2016. 2. 11.
그리스 비극은 디오니소스의 종교의식에서 발달 오르페우스 종교가 영향을 끼친 곳에는 어디나 바쿠스적 요소가 분명히 남아 있었다. 그 바쿠스적 요소 중의 하나는 여성주의feminism이다. 피타고라스에는 이 요소가 많다. 또, 플라톤에 있어서도 여성에 대한 정치적 절대동등권을 주장하기에 이르고 있다. 피타고라스는 말하기를, "성적性的인 면에서는 여성들이 더 경건敬虔에 가깝다. 바쿠스적 요소 가운데 또 하나는 격렬한 정서를 존중하는 일이다. 그리스 비극은 디오니소스의 종교의식에서 발달되었다. 특히, 에우리피데스는 오르페우스 종교의 두 주요 신을 소중히 여겼다. 즉, 바쿠스와 에로스Eros이다. 그는 냉정하고도 독선적이며, 탁월한 행위의 인물을 존경하지 않았다. 이런 사람들은 그의 비극에서는 미쳐 버리고 말든가, 또는 그의 신성모독에 대해 신들로부터 노여.. 2016. 2. 10.
서양의 이상적 인간상 서양의 주된 사상적 전통은 철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형성된 그리스 사상과 유일신 신앙을 바탕으로 전개된 그리스도교 사상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두 흐름을 토대로 서양에서는 '이성주의적 인간관'과 '그리스도교적 인간관'이 형성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사상가들은 인간이 동물과 유사하지만 이성理性을 지니므로 동물과 구별된다고 여겼다. 인간은 이성이 있기 때문에 자연환경이나 자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으며, 감각적 충동과 감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면서 참된 진리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학문과 기술, 제도 등을 발전시켜 문명의 발달을 이루었다. 이성주의적 인간관에 따르면 이성에 따라 살아가는 인간이 가장 이상적인 존재이며, 이성에 따르는 삶이 가장 행복한 삶이다. 그리스도교에서는 신이 자신의 형상을 본떠 인.. 2016.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