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70

어떤 기준을 가지고 분배할 것인가? '분배 정의'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아리스토텔레스는 명예나 금전, 공공의 재화를 공적에 따라 분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당사자들이 기여할 것과 같은 비율로 분배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공적에 따라 분배하면 공적이 없는 사람은 분배를 받지 못하며, 이로 말미암아 빈부 격차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평등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부의 분배에서 공적에 따르기보다는 모두에게 평등하게 분배하라고 요구한다. 최근에는 공적과 상관없이 개인의 노력에 비례해서 분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즉,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노력을 했다면 공적이 다르다 할지라도 동등한 몫을 분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 노력을 측정하거나 평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기준들과는 달리 인간의 기본 욕구 혹은 필요가 .. 2016. 2. 3.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목적론적 윤리란, 말 그대로 우리가 추구하고 또 추구해야 할 어떤 궁극 목적이 있음을 전제하는 윤리인데, 그 궁극 목적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대체로 행복이다. 이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행복을 가져오는 행위가 선하고 옳은 행위가 된다. 반면, 의무론적 윤리란 우리가 추구해야 할 어떤 궁극 목적보다는 언제 어디서나 지켜야 할 행위의 근본 원칙에 주목하는 윤리이다. 예를 들어 행복과 의무가 충돌할 경우, 목적론자는 행복 쪽을 선택한다면 의무론자는 의무 쪽을 선택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목적론과 의무론이 각기 서로 다른 세계관에 근거한 윤리임을 짐작할 수 있다. 전자가 행복한 삶과 감각적 경험을 중시하고 현실주의적 경향을 띤다면, 후자는 의로운 삶과 합리적 이성을 중시하고 이상주의적 경향을 띤다. 2016. 2. 2.
낭만주의 사조의 심미적 명상의 대상 예술에서나 문화에서나, 또 정치에서 팽배하던 이와 같은 낭만주의 사조는 인간을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보는 것이 아니고, 즐거운 심미적 명상의 대상으로 보는 주관주의적 방법과 결합되고 있다. 호랑이는 양보다 더 아름답다. 그러나 우리는 호랑이를 울타리 속에 가두어 두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대표적인 낭만주의자들은 이 울타리를 제거해 버리고, 울타리를 나온 호랑이들이 양들을 전멸시키기 위해 뛰어나가는 모습을 보는 것을 즐긴다. 그들은 사람들이 원하여 스스로 호랑이가 되었다고 상상하라고 한다. 그리고 이것이 성공했을 때 그 결과는 반드시 즐거운 것만은 아니다. 2016. 2. 1.
편견과 오류의 제거 전제에서 결론을 이끌어 낼 때 자신도 모르게 잘못을 범하기 쉽다. 이러한 잘못의 대표적인 것이 편견과 오류이다. 편견이란 어떤 사람이나 사물, 현상에 대하여 사실상의 근거도 없이 지니는 의견을 의미한다. 이러한 태도는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인종적 편견은 특정 인종에 대한 무조전점인 호의감 혹은 적대감을 가지게 만든다. 오류는 어떤 논거를 제시할 때 저지르는 잘못을 말한다. 이는 얼핏 그렇듯해 보이지만, 결론을 이끌어 내는 과정이나 전제가 비논리적이다. 대표적인 오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는 특정한 사례만 보고 모든 결과가 같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오류를 만한다. 예를 들어, "김치는 맵다. 그러므로 모든 한국 음식은 맵다."와 같은 논증이다. '.. 2016.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