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덕성과 세상251 소수자, 사회적 약자와 인간의 기본권 문제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다수의 권익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때문에 자칫 소수자의 권익이 배제될 때가 있다. 가령, 다민족 국가에서 행해지는 소수 민족에 대한 차별이나 1950년대까지 미국 남부 여러 도시에서 채택되었던 흑백 분리법 등은 소수자나 사회적 약자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사례이다. 우리 사회에서도 교통 시설이나 건축물들이 일반인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인권 침해 문제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도덕적 문제들은 소수자나 사회적 약자의 권익을 침해하고 가치의 부당한 분배를 강요하는 것이기에 사회 발전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 다행히 최근 우리 사회에.. 2015. 7. 5. 적극적인 자유 : ~로의 자유 '~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는 소극적 자유와 달리 각 개인이 누리는 자유의 폭과 정도를 누가 결정하느냐와 관련된 자유가 있다. 강제가 없는 상태에 만족하는 것을 넘어서 자율적으로 목적을 정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것을 '적극적 자유'라고 한다. 적극적 자유는 '~로의 자유'로 표현되며, 자율적 의지와 결정을 바탕으로 한 선택권의 행사와 자기 의사의 발표 기회가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적극적 자유는 어려움이 있더라도 자기가 선택한 것을 의지를 갖고 계속해 나가는 것을 포함한다. 봉사 활동 점수가 학교 내신 성적에 반영되기 때문에 봉사 활동에 참가하는 학생은 점수가 없어진다면 봉사 활동에 대한 부담에서 자유롭다고 느낀 것이다. 그러나 남을 돕는 일에서 기쁨과 보람을 느끼는 학생은 봉사 활동 점수와 관계.. 2015. 7. 4. 용서는 이상 사회 건설을 위한 출발점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고 화해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먼저 분노와 원한을 떨쳐 버리고 상대방을 용서할 수있어야 한다. 용서는 피해자가 상대에 대한 분노, 적개심, 복수 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이해와 마음 자세를 가지고 상대방을 건설적으로 대하는 것이다. 우리는 용서의 과정을 통해 내적 갈등을 극복하고 상대방을 사랑하면서 서로의 관계를 회복시킬 수있다. 다시말해서, 용서는 자기 내부의 평화로운 마음을 바탕으로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줄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상대의 장점을 생각하고, 상대가 잘되기를바라며, 상대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용서를 통해 상대방과의 관계 회복은 물론이고, 자기 자신도 건강해진다. 진실로 용서를 하게 되면 상대방과 자기 자신에 대해 더 사랑하는 감정을 느끼게 된다.. 2015. 7. 2. 나는 고발한다 : 드레퓌스 사건과 에밀 졸라 1884년 9월, 프랑스 정보국 요원이 독일 대사관 무관 슈바르츠코펜 앞으로 가는 편지 한 장을 훔쳐 냈다. 그 편지에는 프랑스 육군 기밀 문서의 내용을 자세히 적은 서류가 들어 있었고, 보낸 사람은 누구인지 알 수 없었다. 그러자 프랑스 군대의 기밀을 독일에 팔아먹는 스파이를 찾아내느라 고심하던 정보국은 별다른 증거도 없이 포병 장교였던 드레퓌스 대위를 체포하였고, 드레퓌스는 비공개 군법 회의에 넘겨졌다. 군법 회에에서 제시된 유일한 증거는 서류의 필체가 드레퓌스와 유사하다는 것 뿐이었지만, 재판은 졸속으로 진행되었다. 드레퓌스가 유대 인이었던 것도 재판이 불공정하게 진행되는데 한몫을 했다. 결국 드레퓌스는 종신형을 선고받고 섬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재판 종결 후 드레퓌스가 범인이 아니라는 정황 증거를.. 2015. 7. 1.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