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덕성과 세상251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불공정한 가치 분배 삶의 중요한 가치들이 개인의 노력이나 능력, 또는 사회 구성원들의 합의에 근거해 분배된다면, 그 사회는 모순 없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자신의 노력이나 능력과는 무관하게 공정하지 못한 원칙이나 제도에 의해 부당한 분배를 강요받는다면, 누구나 그 사회에 구조적인 모순이 있다고 느낄 것이다. 인류 역사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있는 신분 제도나 인종 차별 제도, 성性차별 제도 등은 구조적 모순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모순과 불평등 따문에 발생한 가난 등과 같은 문제점은 자선慈善과 같은 개인의 도덕적 행위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처럼 개인의 도덕적 삶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 모순은 현대 민주주의 사회 안에서도 여전히 남아 있어 가치의 불공정한 분배라는 도덕적 문제를.. 2015. 6. 10.
소극적 자유 - 강제와 억압으로부터의 자유 일반적으로 자유란 스스로의 행위와 선택을 방해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다른 사람, 다른 원인 때문에 하지 못한다면 나는 그만큼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강제와 억압을 받을 때 나는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없으며, 따라서 자유가 없다. 이러한 강제와 억압으로부터의 자유를 '소극적 자유'라고 한다. 소극적 자유는 '~로부터의 자유'로 표현되며, 다시 외적 자유와 내적 자유로 구분된다. 소극적인 외적 자유는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방해하는 외적인 강요나 제한으로부터의 자유이다. 예컨대, 사실 보도를 해야 하는 기자는 사실을 왜곡해서 기사를 쓰라는 압력으로부터의 자유를 원한다. 이 경우 왜곡되 기사를 쓰라는 외부의 압력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기자는 사실보도의 자유를 .. 2015. 6. 8.
다르다는 것과 같다는 것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서로 같다.", "서로가 서로에게 의존한다."라는 사실보다는 "서로가 다르다."라는 사실에 더 주목한다. 그리하여 다름을 각자가 갖지 못한 것을 채워 줄 수 있는 가능성으로 보기보다는 상대편을 비난하고 공격하거나 차별하는 근거로 삼는다.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자신과 다른 견해나 입장을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자신과 다르다는 이유로 미워하거나 자신의 주장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자신과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고 상대방의 고유성과 독특성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고정 관념이나 선입견, 편견을 버려야 하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 끊임없이 상호 작용을 해야 한다. 사실 다르다는 것은 같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으로, 둘은 동전의 양면처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수레의.. 2015. 6. 6.
개인의 권리 보호와 갈등에 대한 국가 권력의 행사 나는 고등학교 때 사고로 부모님을 잃은 후 밤에는 일하고 낮에는 공부하면서 힘겹게 하루하루를 보냈다. 나는 훌륭한 엔지니어가 되는 것이 꿈이었는데, 그 당시 내 형편으로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기 어려웠다. 당분간 내 꿈은 접어야 한다는 생각에 공부가 손에 안 잡혔던 것 같다. 그때 담임 선생님에게서 공부를 하려는 의욕이 있고 열심히 노력하면 국가에서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는 말씀을 들었다. 그 후에 나는 다시 열심히 공부를 해서 국비 장학생으로 유학까지 다녀올 수 있었다. 그리고 지금 나는 내 꿈이었던 엔지니어가 되었다.내 취미는 아마추어 무선 통신이다. 전 세계에 있는 무선 통신 애호가들과 서로의 문화를 나누며 다른 나라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알아가는 것은 정말 재미있다. 무선 통신.. 2015. 6.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