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덕성과 세상251 왜 사회 집단은 개인보다 도덕적이지 못한가? 사람들은 각자 자신의 행위를 결정할 때 자기 자신의 이익이 아닌 다른 사람의 이익을 고려하기도 한다. 이처럼 자신의 이익보다 다른 사람의 이익을 먼저 생각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사람들은 도덕적이다. 사람들은 본래 동정심과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그 동정심과 배려의 마음은 교육을 통해 성장하기도 한다. 사람들의 이성적 능력은, 사람들로 하여금 정의감을 갖게 하며, 교육을 통하여 정의감이 길러지는 가운데 사람들을 이기적인 모습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다. 결국, 사람들은 그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사회 상황을 비교적 객관적인 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회 집단의 경우, 이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모든 사회 집단은 집단을 형성하는 개인이 그들의 개인적인 관계에서 나.. 2015. 6. 3. 자유의 역설 - 나의 자유와 타인의 자유 자유에 어떠한 구속력도 없다면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을 마음대로 지배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자유는 훨씬 더 큰 구속을 가져온다. 결국 더 큰 자유를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자유를 국가가 제한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내가 국가에 요구하는 것은 보호이다. 이는 나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나는 나의 자유와 타인의 자유를 위해 보호를 요구하는 것이다. 나는 나보다 강한 주먹을 가지고 있거나 더 큰 총을 지니고 있는 누군가에게 지배당하고 싶지 않다. 나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나의 자유를 약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나는 국가가 나의 행동의 자유 중 일부를 제한하는 것을 기꺼이 받아들인다.이를테면, 내가 누군가에게 공격을 받았을 때 나는 정당방위를 하고 싶어 한다. 내가.. 2015. 6. 2. 나의 갈등 처리 방식 진단 * 채점 기준 1~4번까지 16점 이상 → 회피형 5~8번까지 16점 이상 → 경쟁형 9~12번까지 16점 이상 → 타협형13~16번까지 16점 이상 → 협조형 * 이 유형은 대체적인 나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이거나 고정불변의 것은 아니다. 2015. 5. 31. 개인의 권리와 국가 권력 오늘날 민주 국가는 개인의 다양한 권리들을 보호하고 개인이 그 권리들을 자유롭게 행사하도록 돕고 있다. 국가는 생명권, 평등권, 자유권, 재산권과 같은 시민의 기본적 권리들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교육을 받을 권리, 노동의 권리, 의료 서비스를 받을 권리 등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권리들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가 다원화되고 개인 간, 집단 간에 권리가 경합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어떤 권리를 더 우선하고, 어떤권리를 제한해야 하는지를 정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권리도 종류에 따라 생명권이나 자유권과 같이 다른 권리에 앞서서 보호받아야 할 것이 있고, 환경권과 같이 다른 권리와 경합할 경우 양보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이 경우 국가는 경합하는 권리들 간에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 2015. 5. 30.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