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윤리와 사상/사회 사상68 자유와 의미와 개념 구분 근대 이후 서양에서 자유는 인간이 누려야 할 기본적 권리라는 인식과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평등하다는 주장이 확신되기 시작하였다. 아마도 사람들 대부분은 자유와 평등의 가치가 소중하다는 데 의견을 달리하지 않을 것이다. 자유와 평등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고 행복을 실현하는 핵심 가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유와 평등은 어떤 입장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자유의 개념은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로 구분할 수 있다. 소극적 자유는 외부로부터의 강제나 방해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으)로부터의 자유'로 표현된다. 이에 반해, 적극적 자유는 자신의 선택과 결정에 따라 목적을 설정하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노력하는 상태를 의미하여, '~을(를) 향한 자유'로 표현된다. 적극적 자유는 우.. 2016. 6. 6. 자유와 평등이란 무엇인가? - 의미 설정하기 자유와 평등은 모든 인간이 누려야 할 기본 가치이다. 그러나 자유만을 강조하면 평등이, 평등만을 강조하면 자유가 침해당하게 된다. 자유와 평등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까? 자유만 무엇일까? 예를 들어 보자. 방과 후에 네가 집에 가려는데 힘센 친구가 이유없이 못 가게 하면 너는 자유롭지 못한거야. 자유란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도록 간섭이나 구속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거지. 평등이란 무엇일까? 여기 저울에 초클릿이 세 개씩 나란히 평행한게 평등이야. 네가 초클릿을 뺏어 먹으면 평등이 깨지는 것이지. 2016. 5. 28. 지속 가능한 자본주의를 위하여! 시장 경제로의 이행에 대한 동유럽 주민들의 의식 조사 아래 표는 1991년과 2009년 실시한 동일 여론 조사를 비교한 결과이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자본주의와 민주주으로의 이행에 만족하였다. 그러나 우크마이나, 헝가리, 러시아 등은 1/3 이상의 응답자가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반대하였다. 시장 경제로의 변화에 대한 동유럽 각국 국민의 지지도 2016. 5. 20.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복지 덴마크는 세계인이 부러워하는 복지 선진국이다. 면적은 우리나라 경상도 정도이지만, 국민 소득은 5만 달러가 넘는다. 세계 최고의 복지 제도로 국민의 행복 지수가 높고 빈부 격차가 거의 없는 나라이기도 하다. 다른 북유럽 국가들처럼 교육과 의료, 노후 등을 국가가 책임지는데, 재원은 국민의 세금이다. 국내 총생산 대비 조세 부담률이 우리나라의 두 배가 넘는다. 덴마크 사람들은 높은 세금에도 조세 저항이 거의 없다. 최고 수준의 복지로 되돌아오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산모에게는 출산 6주 전부터 산후 1년까지 유급 휴가를 준다. 그 후에는 아이를 양육할 수 있는 탁아비가 나온다. 이런 혜택은 출산이 아닌 입양 시에도 똑같다. 2016. 5. 11.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