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배워보자770

우주 전체와의 조화 추구 모든 생명은 전체성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개체로서의 생명은 전체성 속에서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고, 다른 생명을 도와야 평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은 자연, 우주와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스토아 사상가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항상 이 우주를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로, 하나의 유일한 실체로, 그리고 하나의 유일한 영혼으로 생각하라."라고 말했다. 인간, 세계, 자연, 우주를 지배하는 이성의 법칙이 있으며, 이성적 능력을 가진 인간은 이러한 법칙을 이해할 수 있기에 이를 통해 우주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하늘과 인간이 서로 감응한다는 유학의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이나 세상 만물은 서로가 서로에게 의존하여 존재한다는 불교의 연기설緣起說도 인간과 자연, 우주의 관계가.. 2015. 10. 24.
영원에 대한 개념과 철학적 체계 시간 속에 있는 것은 어떤 것이나 다 지나가 버린다는 것을 부정할 수가 없었던 철학적 경향을 띤 신비가들은 모두 영원이란 것을 생각하게 되었는데, 이 영원은 끝없는 시간을 통하여 영원히 존재한다는 의미에서의 영원의 개념이 아니며, 전연 시간적 과정 밖에 있다는 의미에서의 영원의 개념을 생각한 것이다. 어떤 신학자들에 의하면, 예컨대 잉Inge 사제장 같은 이에 의하면, 영생은 미래의 시간 전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시간에서부터 전적으로 독립된 어떤 존재 양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전도 없고 이후도 없으며, 또 변화라는 것도 논리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견해를 본Vaughan은 다음과 같은 시로써 표현하고 있다. 나는 어느 날 밤 영원을 보았다.순결하.. 2015. 10. 22.
세계화와 민족 정체성 세계화란, 인간의 삶의 공간이 국가 단위를 넘어서 전 지구로 확대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활동이 전 지구적 공간에서 일어나면서 토인비가 지적한 '거리의 파괴'가 발생함을 말한다. 이는 교통·통신 기술의 혁명적인 발달로 지구의 공간이 좁아지고,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퇴조하여 세계를 하나의 체제로 통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세계화에 따라 국제 사회에서의 상호 작용 및 의존성이 깊어졌고, 인간은 하나의 공동체 의식을 지닌 세계 시민으로 살 수 있게 되었다. 즉, 다양한 인종이나 민족, 집단의 문화가 공존하는 것을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다문화 시대가 열린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와 민족의 역할과 위상이 약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입장도 있다.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경.. 2015. 10. 21.
민본주의와 민주주의 - 청계천 정비를 중심으로 조선 태종 때 도시의 하수도 구실을 하던 청계천에 쓰레기와 토사가 점차 쌓이자 이를 정비하는 대규모 공사를 벌였다. 이후 세종은 청계천 지류를 정비하는 공사를 시작하는데, 당시 심각한 국책 사업 논쟁이 벌어졌다. 풍수지리학자들은 "명당수인 청계천을 깨끗이 정비해야 국운이 돌아온다."라는 논리를 폈고, 집현전 학자들은 "하천 주변 백성의 민생을 해칠 것이며, 풍수지리에 따라 국책을 결정할 수는 없다."라며 반대의 논리를 폈다. 당시 논쟁은 집현전 학자들의 우세승으로 돌아갔고, 이후 300년 동안 사람이 지배하면서 청계천 정비 사업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이후 300년 만인 영조에 이르러 청계천 정비 공사가 다시 시작되었다. 영조는 청계천 공사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담은 "준천사실濬川事實"이라는 기록을 남.. 2015.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