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덕성과 세상251

추론에서 복합 질문의 오류 겉으로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한 가지의 질문 같지만 실제로는 두 가지 이상의 질문이 결합된 것으로, 상대방의 한 가지 대답에 대해 반대 주장을 펼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는 경우의 오류이다. 예를 들어, "너 지금도 매일 공부 안 하고 놀기만 하니?"라는 질문에 대해 "아니요." 라고 답하면 과거에는 매일 놀기만 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또한, "그렇다." 라고 대답해도 과거부터 지금까지 늘 놀기만 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2016. 3. 19.
한국의 이상적 인간 - 화랑과 선비 동서양과 마찬가지로 한국인들도 한국적 상황에서 이상적 인간을 추구하였다. 한국의 이상적 인간상은 고유한 사상을 바탕으로 외래문화를 받아들여 형성한 것이다. 한국의 이상적 인간으로는 우선 화랑을 들 수 있다. 화랑은 대체로 신라 시대에 고대 사회의 독특한 기풍과 종교에 의해서 정립된 인간상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이들은 도의道義를 닦고 가악歌樂을 즐기며 산천을 유람하면서 먼 지방까지 갔다. 이렇듯 화랑은 인격과 덕망 등을 기르고 함께 즐기면서 바르고 바르지 않은 사람을 분별하였는데, 바르고 충실한 자는 국가에 등용되었다. 화랑은 의로움을 가장 귀한 가치로 여겨, 이를 위해서 목숨을 바치거나 전쟁에서 싸우다가 죽는 것을 명예롭게 여겼다. 선비는 고려 및 조선 시대에 이상적으로 생각한 인간상이다. 선비는.. 2016. 3. 16.
극단적 세계주의의 사례와 문제점 세계주의는 민족주의와 대비되는 것으로 현존하는 여러 국가가 해소 혹은 개혁되어서 국가 간의 대립이 없어지고, 유일한 세계 연방이 실현되어 전 인류가 그 시민이 되는 것을 이상으로 한다. 세계주의의 사상적 기반은, 모든 사람은 이성이 있어서 평등하며 이성의 법칙에 따라 동일한 권리와 의무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던 스토아학파에서 찾을 수 있다. 근대의 칸트도 사회 구성원 모두가 "너의 행동의 준칙이 항상 보편적 법칙에 타당하도록 하라."는 명령을 도덕 원리로 삼는 도덕적인 공동체를 지향하였다. 이들은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동시에 나 자신의 포용력을 풍부하게 만들고자 하였다. 이에 비해 극단적 세계주의는 개별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인정하기 않고, 특정한 문화만을 세계적인 문화로 여겨 다른 사람들도 받아.. 2016. 3. 13.
분배 정의와 복지의 실현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서구 사회에서의 분배 기준은 주로 공적이었고, 빈민의 비참함을 덜어 주는 것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다만 귀족이나 종교 단체가 자선을 통해 빈민의 어려움을 덜어 줄 뿐이었다. 근대에 와서 사람들은 공적과 무관하게, 분배받지 못한 사람들도 주택·의료·교육 등의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일을 국가가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칸트는 개인이 행하는 적선積善은 주는 사람의 자만심을 키우고 받는 사람의 품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빈민을 부양하는 것은 국가가 나서야 할 일이라고 여겼다. 또한, 빈민 부양을 위해 국가가 모든 사람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처럼 모든 사람은 빈민 부양에 이바지해야 할 의무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는 모든 구성원이 쾌적한 생활 환경.. 2016.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