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워보자770 세속적인 권력을 가진 튜턴Teuton족의 왕들이나 귀족 이와 반대로, 세속적 권력은 튜턴Teuton족의 왕들이나 귀족들의 손에 달려 있었다. 이들은 독일의 삼림 속에서부터 가지고 있던 제도를 가능한 한 보존하려고 하였다. 그들의 제도로 보아서는 절대권이란 낯선 것이었다. 또, 이 활동적인 정복자들의 눈에는 침체되고 생기 없는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왕은 그의 권력을 봉건적 귀족들과 나누어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은 다 같이 전쟁·살인·약탈·침략 등으로 그들의 감정이 때때로 폭발되어야만 만족했다. 그리하여, 교회는 그들에게서 마치 오늘날의 고용주들이 고용인에게 요구하고, 또 그것을 획득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규칙성 있는 선행이란 것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만일, 그들이 그들의 기분이 움직이는 대로 술도 마시가 살인도 하고, 또 사랑도 할 수 없다면, .. 2015. 11. 9. 존엄사 허용 논쟁을 통해 본 사실, 가치, 도덕 판단 의학적으로 환자가 의식의 회복 가능성이 없고 생명과 관련된 중요한 생체 기능의 상실을 회복할 수 없으며 환자의 신체 상태에 비추어 짧은 시간 내에 사망에 이를 수 있음이 명백한 경우(이하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라 한다.)에 이루어지는 진료 행위(이하 '연명 치료'라 한다.)는 질병의 호전을 사실상 포기한 상태에서 오로지 현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치료에 불과하다. 이미 죽음의 과정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이른 후에는,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신체 침해 행위에 해당하는 연명 치료를 환자에게 강요하는 것이 오히려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해치게 된다. 따라서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이른 후에 환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 추구권에 기초하여 자기 결정권.. 2015. 11. 8. 자본주의의 등장 배경 및 전개 자본주의는 오랫동안 서서히 형성되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봉건제가 지배적인 정치·경제 질서였으며, 종교적 권력이 지배적인 사회 질서였다. 자본부의는 지리상의 발견과 교역 확대 등으로 상업이 서서히 발전하면서 16세기 무렵부터 봉건제 속에서 점차 싹트기 시작하였다. 국가 간의 교역을 통한 경제의 파급은 자급자족적인 봉건제를 허물고, 시장에서의 자유 교환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 경제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부르주아는 종교적 권력과 봉건적 신분 질서에 대항하여 종교 개혁과 시민 혁명을 일으켜 개인의 가치와 인간의 자유를 신장시킴으로써 자본주의를 발달시킨 주역이었다. 부르주아는 자기 자본으로 원료를 사들이고, 프롤레타리아를 고용하여 생산한 상품을 팔아 이윤을 획득함으로써 자본을 축적하였다. 그런데 자본주의.. 2015. 11. 7.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 대표되는 그리스 철학의 극복 이후로는 이제까지의 비할 데 없는 업적에도 불구하고 처음에는 쇠퇴의 열매가 뿌려졌고, 그리고 후에는 차츰 타락되어 갔다. 데모크리토스 이후에 가장 훌륭한 철학에서도 잘못된 것은 우주에 비하여 인간을 부당하게 중요시하는 점이다. 첫째로 소피스트와 더불어 회의주의가 등장한다. 이것은 새로운 지식을 얻기에 노력하기보다도 우리는 어떻게 하여 인식하는가를 더 연구했다. 다음에 온 것은 소크라테스의 윤리에 대한 강조이다. 플라톤과 더불어 순사색純思索의 스스로 창조한 세계를 위하여 감각의 세계를 부인하게 되며, 아리스토텔레스와 더불어 과학에 있어서 기초 개념으로서 목적에 대한 신앙이 들어온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천재성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사상에는 여러 가지 좋지 못한 점들이 있으니, 이것들은 한없이 유해하.. 2015. 11. 6. 이전 1 ··· 83 84 85 86 87 88 89 ··· 193 다음 반응형